넷지마스터의 탁구 이야기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넷지마스터의 탁구 이야기

  • 분류 전체보기 (27)
    • 탁구 (27)
      • 탁구 일반 지식 (11)
      • 탁구 규칙 (2)
      • 탁구 기술 (1)
      • 탁구 자격증 (3)
      • 탁구 러버 (3)
      • 탁구 블레이드 (4)
      • 탁구 기타 용품 (1)
      • 탁구 소식 (2)
  • 홈
  • 유튜브
  • 인스타그램
한국 탁구의 역사 04 - 탁구 강국으로서의 한국 (1990년대)

한국 탁구의 역사 04 - 탁구 강국으로서의 한국 (1990년대)

1.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 석권서울 올림픽 이후에도 한국 탁구는 국제 무대에서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굳건히 했습니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서 강희찬, 김택수, 문규민, 박지현, 유남규 선수가 남자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현정화, 홍차옥 복식조가 여자복식 금메달을 획득합니다. 금메달 외에도 여자단체전, 혼합복식에서 은메달을, 남자단식과 남자복식에서는 동메달도 획득합니다. 또한 같은 해에 있었던 제1회 세계복식컵 탁구대회에서는 김택수, 유남규 선수의 남자복식과 현정화, 홍차옥 선수의 여자복식이 모두 금메달을 차지합니다.2. 한국 최초의 남북 단일팀 출전과 우승1991년 지바 세계선수권대회는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모든 스포츠 종목 중 최초로 남북 단일팀이 출전해 여자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

  • menu_book 탁구 일반 지식
  • · 2025. 3. 30.
  • textsms
한국 탁구의 역사 01 - 한국 탁구의 기틀 마련 (1910~1940년대)

한국 탁구의 역사 01 - 한국 탁구의 기틀 마련 (1910~1940년대)

1. 한국 탁구 선수의 계보2. 탁구의 도입탁구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 대한탁구협회는 1924년 1월 경성일일신문사가 주최한 제1회 전조선핑퐁경기대회를 한반도에서 열린 최초의 전국 규모 탁구 대회로 보고, 이를 한국 탁구의 효시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점으로 2024년에 대한민국 최초로 개최한 부산 세계선수권대회를 한국 탁구 100주년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한국 탁구의 본격적인 시작을 전조선핑퐁경기대회가 아닌 1928년에 열린 제1회 전조선탁구선수권대회로 보는 견해도 존재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문헌에 따르면 1924년 전조선핑퐁경기대회 이전에도 한반도에서 탁구를 한 기록이 있습니다. 1914년 조선교육회잡지에서 이미 상비 시설..

  • menu_book 탁구 일반 지식
  • · 2025. 3. 27.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navigate_next
menu_book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27)
    • 탁구 (27)
      • 탁구 일반 지식 (11)
      • 탁구 규칙 (2)
      • 탁구 기술 (1)
      • 탁구 자격증 (3)
      • 탁구 러버 (3)
      • 탁구 블레이드 (4)
      • 탁구 기타 용품 (1)
      • 탁구 소식 (2)
Recent Articles
thumb_up Popular Articles
tag Tags
  • #아우터포스 alc
  • #구술시험
  • #국제탁구연맹
  • #탁구 용어
  • #신유빈
  • #탁구 라켓
  • #네트 어셈블리
  • #탁구
  • #평면러버
  • #대한탁구협회
moving Visitors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