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를 처음 시작하거나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 필수적인 탁구 규칙과 용어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제탁구연맹(ITTF)의 공식 규정을 바탕으로 실전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
1. 탁구 규칙의 기본 용어 이해하기📌
탁구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규칙의 기본 용어부터 알아야 합니다. 국제탁구연맹에서 정의한 주요 용어들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1. 랠리(Rally)와 인플레이(In Play) 🔄
탁구에서 랠리(Rally)란 공이 '경기 중(In Play, 인플레이)'에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서비스로 시작해서 포인트가 결정될 때까지의 모든 과정이 하나의 랠리입니다. 랠리 중에는 선수들이 번갈아가며 공을 쳐 상대방 코트로 넘기게 됩니다.
인플레이(In Play)는 공이 경기 중에 있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로, 서비스가 시작되어 포인트가 결정될 때까지 공이 활성화된 상태를 말합니다. 랠리와 인플레이는 밀접하게 연관된 개념으로 탁구의 기본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1-2. 포인트(Point)의 의미⚡
포인트(Point)는 랠리의 결과가 득점이나 실점으로 끝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어느 한 선수가 규칙에 맞게 랠리에서 승리하거나 상대방이 실수를 했을 때 얻게 되는 점수입니다. 탁구 경기에서는 포인트를 많이 획득하는 것이 승리의 핵심입니다.
2. 포인트가 되는 경우: 득점과 실점의 기준🎯
탁구 경기에서 포인트를 얻거나 잃게 되는 상황들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국제탁구연맹 규정에 따른 포인트 발생 상황입니다.
2-1. 상대 코트로 공을 돌려보내지 못하는 경우👎
가장 기본적인 득점 상황은 상대방이 코트에 바운드된 공을 다시 넘기지 못할 때입니다. 공격에 성공했든, 수비에 실패했든 이러한 경우 상대방은 실점하게 됩니다. 이는 탁구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득점 방식입니다.
2-2. 네트 어셈블리 접촉과 탁구대 이동🚫
선수가 네트 어셈블리(Net Assembly)를 건드리는 경우 실점됩니다. 네트 어셈블리는 네트, 지주, 지주봉, 죔쇠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입니다. 또한 선수의 움직임이나 착용품에 의해 탁구대의 시합 표면이 이동되는 경우도, 시합 표면이 이동했다면 실점으로 처리됩니다. 단, 랠리 중 몸으로 탁구대를 단순히 건드리는 것만으로는 실점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2-3. 프리 핸드(Free Hand) 접촉✋
프리 핸드(Free Hand)란 라켓을 잡고 있지 않은 손을 의미합니다. 랠리 중에 프리 핸드로 탁구대 표면을 건드리면 즉시 실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공을 치기 위해 프리 핸드로 탁구대를 짚고 균형을 잡는 행위는 실점 처리됩니다.
2-4. 서비스와 리시브 실패❌
서비스나 리시브에 실패하는 경우도 포인트로 이어집니다. 서비스는 공을 띄운 순간부터 규칙을 준수해야 하며, 공을 맞히지 못하거나 상대 코트로 넘기지 못하면 바로 실점됩니다. 반대로, 서비스가 엣지(탁구대 시합표면의 모서리)를 맞고 성공해도 인플레이와 포인트로 인정됩니다.
3. 렛(Let): 다시 플레이해야 하는 상황🔄
렛(Let)은 포인트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랠리의 결과가 득점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 또는 랠리를 중단하고 다시 플레이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렛이 선언되면 해당 랠리는 무효가 되고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렛이 선언되는 주요 상황🌐
- 네트, 렛(Net, Let): 서비스할 때 공이 네트 어셈블리를 건드리고 상대 코트로 넘어간 경우입니다. 많은 동호인들이 이를 '넷(Net)'이라고 표현하지만, 공식 용어는 렛입니다.
- 리시버 미준비: 리시버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 경우 렛으로 처리됩니다.
- 외부 방해: 경기가 심판이나 동적인 주변 환경에 의해 정지되거나 방해받은 경우에도 렛이 선언됩니다.
네트 렛의 경우, 서비스가 네트 어셈블리에 맞고 상대 코트로 넘어가면 다시 서브해야 하며, 이는 무제한으로 허용됩니다. 많은 동호인들이 '넷(Net)'이라고 표현하지만, 공식 용어는 '렛(Let)'이 올바른 표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4. 탁구 점수 체계와 경기 구성🏆
탁구 경기의 전체적인 구조와 점수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경기를 즐기고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합니다. 공식 용어와 실제 동호인들이 사용하는 용어의 차이점도 알아봅시다.
4-1. 매치(Match)와 게임(Game)🎮
공식적으로 탁구 경기를 매치(Match)라고 부르며, 매치는 여러 개의 게임(Game)으로 구성됩니다. 일반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매치를 게임으로, 게임을 '세트(Set)'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공식 용어가 아닙니다.
탁구 매치는 보통 홀수 게임의 X 선승제로 진행됩니다. 대표적으로 11점제의 5전 3선승(3게임 먼저 이기는 쪽이 승리) 또는 7전 4선승 방식이 있습니다. 생활체육 탁구에서는 주로 5전 3선승제로 매치가 이루어집니다.
4-2. 게임의 진행과 점수 획득🎯
단식과 복식 모두 게임마다 서비스 순서를 변경하여 두 번씩 서비스를 실시합니다. 11점을 먼저 획득한 쪽이 해당 게임을 승리하게 됩니다.
점수가 10대10으로 동점인 '듀스(Deuce)' 상황과 그 이후 동점에서는 서비스를 한 번씩 번갈아 실시하며, 어느 한 쪽이 2점 차이로 앞서야 게임이 끝납니다. 예를 들어, 12-10이나 11-13과 같은 점수로 게임이 종료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선수나 조가 먼저 5포인트를 획득한 경우, 엔드(End)를 바꾸게 됩니다. 엔드란 한쪽 코트를 의미하며 선수가 경기하는 자리를 말합니다.
4-3. 복식 경기의 특별 규칙👥
복식 경기는 단식과 다른 몇 가지 특별한 규칙이 있습니다:
- 매 게임 시작 시, 서브권을 가진 조는 두 사람 중 누가 먼저 서브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 리시브 조는 누가 리시브를 먼저 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 두 번째 게임부터는 첫 서버를 결정하고 나면, 이전 게임에서 그 선수에게 서브한 선수가 첫 리시버가 됩니다.
- 서비스가 바뀔 때마다 이전의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이전 서버의 파트너는 리시버가 됩니다.
- 복식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 어느 조든 5포인트를 먼저 획득하면, 리시브 조는 리시빙 순서를 바꿉니다.
4-4. 점수 카운팅과 타월링(Toweling)🧠
점수를 셀 때는 득점이 많은 사람의 점수를 먼저 부르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권을 가진 사람의 점수를 먼저 부릅니다. 이 점은 초보자들이 종종 혼동하는 부분입니다.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점수 합이 6의 배수일 때 땀을 닦는 타월링(Toweling) 인터벌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체육에서는 상대의 양해를 구하면 필요할 때 타월링을 하는 편입니다.
5. 인플레이 판정의 특수 케이스🤔
탁구 경기 중에는 인플레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운 특수한 상황들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케이스들에 대한 정확한 규칙을 알아보겠습니다.
5-1. 지주와 어셈블리 접촉🎯
공이 지주, 지주봉, 죔쇠에 맞고 상대 코트로 넘어가는 경우는 인플레이로 간주됩니다. 이는 탁구대가 탁구대 본체 외에도 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5-2. 네트 우회 플레이↪️
공이 네트 어셈블리를 넘지 않고 테이블 옆으로 들어가 탁구대 시합 표면에 맞는 경우도 인플레이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주로 공의 회전(스핀) 때문에 발생할 수 있으며, 규칙상 유효한 플레이입니다.
5-3. 라켓과 손 접촉👋
공이 라켓에 맞지 않고 라켓을 잡고 있는 손에 맞은 경우나, 고의성 없이 손목 아래로 두 번 맞춰 공을 넘기는 경우도 인플레이입니다. 일반적으로 손목 아래는 라켓과 동일하게 취급됩니다.
2010년 규정이 변경되어, 고의성 없이 한 번의 스윙에서 손과 라켓에 '따닥' 하는 느낌으로 두 번 맞는 것은 인플레이로 인정됩니다.
5-4. 후퇴 회전 공🔄
후퇴 회전(하회전)이 걸린 공이 상대 코트에 바운드된 후, 상대가 공을 건드리지 못했는데 내 코트로 넘어와도 득점으로 인정됩니다. 그러나 거동이 자유롭지 않은 장애인 탁구 경기에서는 공이 상대 코트에 바운드된 후 다시 네트 방향으로 돌아가는 서비스는 반칙으로 처리됩니다.
5-5. 엣지와 사이드의 구분↕️
탁구대 옆에서 친 공이 탁구대 측면에 맞았을 때, 엣지인지 사이드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제탁구연맹 규정에 따르면 탁구대 옆면은 시합 표면이 아닙니다.
따라서 탁구대 시합 표면 옆에 맞는 엣지인 경우 득점이지만, 탁구대 옆면은 실점입니다. 일반적으로 공이 위로 튀면 엣지로 판단하여 득점, 아래로 떨어지면 사이드로 판단하여 실점으로 처리합니다.
🏓 결론: 탁구 규칙의 중요성
탁구는 단순해 보이지만, 다양한 규칙과 용어들이 존재하는 정교한 스포츠입니다. 국제탁구연맹의 공식 규정을 이해하고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경기를 더 전문적으로 즐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 설명한 랠리, 인플레이, 포인트, 렛 등의 기본 개념부터 복잡한 인플레이 판정 케이스까지 숙지한다면, 탁구 경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공식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선수들과의 소통도 원활해질 것입니다.
규칙은 게임의 공정성을 지키고,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기준으로 경기를 즐길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탁구 > 탁구 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구의 서브 규정과 반칙 서브의 구체적인 예시 및 대처 방법 (1) | 2025.04.28 |
---|